금융

슬기로운 10대 돈 벌기 생활: 법규부터 실전까지 완전 정복 가이드 들어가며: 돈에 대한 10대의 뜨거운 관심

fatwallet-1 2025. 4. 9. 12:12
반응형

 

최근 한국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돈 버는 법', '돈 벌기', '돈 잘 버는 법'과 같은 키워드 검색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젊은 세대가 단순히 용돈을 받는 것을 넘어, 스스로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재정적 독립을 이루려는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User Query]. 실제로 10대 사이에서는 자신의 재능을 활용해 수입을 다각화하려는 '머니 러시(Money Rush)' 현상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1

하지만 돈을 벌고 싶은 마음만 앞서다 보면 자칫 법을 어기거나 안전하지 못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10대 청소년들이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쉽고 명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아르바이트 관련 법규부터 요즘 인기 있는 일자리, 온라인을 활용한 수익 창출 방법, 그리고 번 돈을 현명하게 관리하는 기초 지식까지, 슬기로운 10대 경제생활을 위한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권리를 알고 안전하게 일하는 것입니다.

1. 알바 전에 꼭 알아야 할 것: 청소년 근로 법규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청소년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규입니다. 이 법들은 청소년이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2 실제로 많은 청소년이 관련 법규를 잘 몰라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2, 자신의 권리를 아는 것이 안전한 아르바이트의 첫걸음입니다.

1.1. 몇 살부터 일할 수 있나요? (근로 가능 나이)

  • 기본 원칙: 만 15세 이상이면 원칙적으로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5
  • 만 13세 ~ 14세: 만 15세가 안 되었더라도, 만 13세 이상 15세 미만 청소년은 고용노동부에서 **'취직인허증'**이라는 특별 허가증을 발급받으면 일할 수 있습니다.5 예술 공연 참가를 위한 경우라면 만 13세 미만도 취직인허증을 받을 수 있는 예외가 있습니다.7
  • 만 13세 미만: 원칙적으로 일할 수 없습니다.2
  • 중학교 재학생: 만 15세가 넘었더라도 「초·중등교육법」에 따른 중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미만 청소년은 취직인허증이 있어야 일할 수 있습니다.2 즉, 나이뿐만 아니라 현재 학교 재학 상태도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이러한 나이와 재학 상태의 중첩은 청소년과 고용주 모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본인이 해당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2. 꼭 챙겨야 할 서류는 무엇인가요? (필수 서류)

  • 만 18세 미만 청소년: 아르바이트를 할 때 사장님(사용자)은 다음 두 가지 서류를 반드시 사업장에 갖추어 두어야 합니다.
  1. 친권자(또는 후견인) 동의서: 부모님이나 법정 후견인이 일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서류입니다.6 이는 미성년자인 청소년의 근로 활동에 대한 보호자의 인지와 동의를 법적으로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2. 가족관계증명서 등 나이를 증명하는 서류: 청소년의 실제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적 문서입니다.9
  • 만 13세 ~ 14세 (취직인허증 필요 시): '취직인허증'이 가장 중요한 서류입니다. 이 허가증을 발급받는 과정에는 본인 신청 외에도 사용자(사장님), 친권자, 학교장의 확인 및 동의가 필요하며, 서류를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제출해야 합니다.3 약 3일 정도의 처리 기간이 소요됩니다.3 취직인허증이 있다는 것은 부모님 동의와 나이 증명이 확인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3 이렇게 여러 단계의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은 어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사장님의 책임: 사장님이 이러한 서류를 갖추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2 특히, 취직인허증 없이 만 15세 미만 청소년을 고용하면 더 큰 처벌(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3 법적 책임은 청소년이 아닌 사장님에게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는 법이 청소년 근로자를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3. 가장 중요한 서류, 근로계약서!

  • 필수 작성: 아르바이트를 포함하여 어떤 형태로 일하든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해야 합니다.5 "알바인데 뭐", "서로 믿고 일하자" 같은 말에 넘어가서는 안 됩니다.6
  • 내용 확인: 근로계약서에는 임금(액수, 계산 방법, 지급 방법), 근로시간, 휴일, 유급휴가, 담당 업무 내용 등이 명확하게 적혀 있어야 합니다.6
  • 직접 서명: 근로계약은 청소년 본인이 직접 사장님과 체결해야 합니다. 부모님이 대신 서명할 수 없습니다.7 이는 청소년도 동등한 계약 주체임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계약 내용을 스스로 이해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함을 뜻합니다.
  • 사본 보관: 계약서를 작성한 후에는 반드시 한 부를 받아 잘 보관해야 합니다.7
  • 중요성: 근로계약서는 일하는 조건에 대한 공식적인 약속이자 증거입니다. 만약 계약서를 쓰지 않았더라도, 실제로 일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예: 문자 메시지, 동료 증언 등) 임금을 받을 수 있지만, 계약서가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4 계약서 미작성은 임금 체불 등 분쟁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4, 일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작성을 요구해야 합니다.

1.4. 일하는 시간, 얼마나 할 수 있나요? (근로 시간)

  • 만 18세 미만 청소년:
  • 하루 7시간, 일주일 35시간을 초과해서 일할 수 없습니다.5 (일부 자료에 40시간으로 잘못 표기된 경우도 있으나, 35시간이 정확합니다.2)
  • 연장근로: 청소년 본인이 동의하는 경우, 하루 1시간, 일주일 5시간까지 연장근로가 가능합니다.5 연장근로 시에는 추가 수당(가산임금)을 받아야 합니다.6
  • 야간 및 휴일근로: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의 야간 시간과 휴일에는 원칙적으로 일할 수 없습니다.7 예외적으로 일하려면 청소년 본인의 동의고용노동부 장관의 인가가 모두 필요합니다.2 이는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규정입니다.
  • 휴게시간: 4시간 일하면 30분 이상, 8시간 일하면 1시간 이상의 휴식 시간을 일하는 도중에 받아야 합니다.2 이 시간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보통 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3

1.5. 월급은 제대로 받고 있나요? (임금)

  • 최저임금: 청소년도 성인과 동일한 최저임금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5 2024년 기준 시간당 9,860원, 2025년 기준 시간당 10,030원이며, 이 금액은 매년 달라질 수 있습니다.4 어리다는 이유로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는 것은 명백한 불법입니다.2 하지만 여전히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4,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 가산임금: 연장근로, 야간근로(허가된 경우), 휴일근로(허가된 경우)를 했다면 통상임금의 50%를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6 이는 보통 직원이 5명 이상인 사업장에 적용됩니다.6
  • 주휴수당: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결근 없이 일하기로 약속한 날에 모두 출근했다면, 일주일에 하루치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유급휴일).3 주 2~3일만 일하더라도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해당됩니다.12

1.6. 이런 일은 할 수 없어요! (청소년 고용 금지 직종)

  • 유해·위험 업무 금지: 만 18세 미만 청소년은 도덕적으로 해롭거나(유해) 건강 및 안전에 위험한(위험) 일이나 업종에서 일할 수 없습니다.6
  • 구체적인 예시 2:
  • 술을 주로 판매하는 곳 (유흥주점, 단란주점, 소주방, 호프집 등. 일반음식점도 주류 판매 비중이 높으면 불가 12)
  • PC방, 노래방, 비디오방, 만화방, 전화방, 숙박업, 이용업(이발소), 안마시술소가 있는 목욕탕
  • 고압 작업, 잠수 작업, 교도소·정신병원 내 작업, 소각·도살 업무
  • 청소년이 취득할 수 없는 면허가 필요한 운전·조종 업무
  • 주유 업무 외 유류(기름) 취급 업무
  • 기타 유해 화학물질 취급 업무 (예: 2-브로모프로판)
  • 광산 내부 작업 (갱내 근로)

이러한 금지 규정은 매우 광범위하며, 청소년을 신체적 위험, 착취, 유해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입니다.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해당 업무가 청소년에게 허용되는 일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표 1: 청소년 알바 법규 요약>

구분 만 13~14세 만 15~17세
허가 필요? 취직인허증 (고용노동부 발급) 필수 원칙적으로 불필요
필수 서류 취직인허증 (동의서, 나이증명 포함 간주) 친권자 동의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최대 근로시간 1일 7시간, 1주 35시간 1일 7시간, 1주 35시간
연장근로 본인 동의 시 1일 1시간, 1주 5시간 한도 가능 본인 동의 시 1일 1시간, 1주 5시간 한도 가능
최저임금 성인과 동일하게 적용 성인과 동일하게 적용
야간/휴일 원칙적 금지 (예외: 본인 동의 + 노동부 인가) 원칙적 금지 (예외: 본인 동의 + 노동부 인가)

출처: 3 등 종합

이처럼 청소년 근로 보호법규는 상세하지만, 그만큼 청소년이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법이 있어도 청소년 스스로가 내용을 모르거나, 일부 고용주가 이를 지키지 않으려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2 따라서 법규 내용을 숙지하고, 부당한 요구에는 당당히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요즘 10대들이 많이 하는 알바는?

법규를 확인했다면, 이제 실제로 어떤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을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10대 청소년들은 어떤 종류의 아르바이트를 많이 하고 있을까요?

2.1. 익숙한 아르바이트 장소들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는 역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곳들입니다.

  • 편의점, 카페, 식당: 손님 응대, 계산, 매장 정리, 음료 제조, 서빙 등 다양한 업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13 패스트푸드점, 패밀리 레스토랑, 치킨 전문점 등 외식업 분야는 청소년들이 많이 지원하는 대표적인 업종입니다.13
  • 매장 관리 및 판매: 옷 가게, 할인점 등에서 상품 진열, 재고 관리, 고객 응대 등의 일을 합니다.15

이런 곳들은 비교적 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때로는 업무 강도가 높거나 (카페의 '설거지옥' 14), 최저시급 수준의 급여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14 또한, 편의점의 경우 성인을 선호하여 청소년 채용을 꺼리는 경우도 있습니다.17

2.2. 10대에게 인기 있는 다른 알바들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다음과 같은 특정 종류의 아르바이트에도 높은 관심을 보입니다.13

  • 전단지 배포: 길거리나 아파트 등에서 홍보 전단지를 나누어 주는 일로, 특별한 기술 없이 시작할 수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13 다만, 일부 방식이나 장소에서의 전단지 배포는 규제 대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15
  • 행사 보조: 결혼식장, 연회장, 박람회, 지역 축제 등 각종 행사 진행을 돕는 역할입니다.13 단기 알바로 많이 모집합니다.
  • 피팅 모델: 주로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옷이나 상품을 착용하고 사진 촬영을 돕는 일입니다.13
  • 서비스직: 영화관, PC방, 노래방, 놀이공원 등에서 안내, 매표, 관리 등의 업무를 합니다.13 단, PC방이나 노래방 등 일부 업종은 청소년 고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1장 참조) 근무 시간이나 업무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학원 조교: 학원에서 채점, 자료 준비, 학생 관리 등 보조 업무를 수행합니다.15
  • 배달 및 물류 보조: 직접 배달 운전은 면허 및 연령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물류센터(예: 쿠팡 14)에서 상품 포장, 분류, 상하차 보조 등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14 다만, 체력 소모가 클 수 있습니다.14

2.3. 아르바이트는 어떻게 찾을까?

청소년들은 주로 친구나 선배 등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7 하지만 '알바천국', '알바몬'과 같은 온라인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사이트도 중요한 정보원입니다.2 학교 게시판이나 지역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때로는 지자체에서 방학 기간 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단기 아르바이트(관공서 알바 등 14)를 모집하기도 합니다.

2.4. 알바 선택 시 고려할 점

  • 업무 강도와 환경: 일이 얼마나 힘들지, 안전한 환경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카페나 식당은 바쁜 시간대에 매우 힘들 수 있고 14, 물류센터 일은 육체적으로 고될 수 있습니다.14
  • 배울 수 있는 점: 고객 응대 기술, 특정 기술(커피 제조 등 14), 시간 관리 능력 등 아르바이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과 기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잠재적 어려움: 손님과의 갈등 14, 낮은 임금 14, 법적 권리 침해 가능성 4 등을 미리 인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과정에서, 특히 친구 소개 등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할 경우, 근로계약서 작성이나 법적 근무 조건 확인이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17 이는 나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어떤 경로로 일을 구하든 반드시 법적 절차와 권리를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또한,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일부 일자리(예: 전단지 배포, PC방 등)가 실제로는 법적 제한에 해당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12 따라서 1장에서 다룬 법규 내용을 바탕으로 일자리의 적합성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온라인에서 돈 버는 방법: 디지털 네이티브 10대를 위한 기회

요즘 10대들은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입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능력을 이용해 온라인에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도 다양하게 열려 있습니다.1

3.1. 내가 만드는 콘텐츠로 수익 창출! (콘텐츠 제작)

  • 플랫폼: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19 특히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Zepeto)'에서는 아바타를 활용한 드라마를 만들거나 패션 아이템을 디자인하여 판매하는 10대 크리에이터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1
  • 수익 방식: 채널이나 계정을 성장시켜 구독자나 팔로워를 확보한 후, 광고 수익, 기업 협찬(스폰서십), 또는 직접 만든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1 제페토 패션 아이템 디자이너의 경우, 아이템 판매 수익을 플랫폼 및 소속사(MCN)와 나누는 방식으로 정산받기도 합니다.1
  • 고려할 점: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꾸준함이 필수적입니다. 구독자나 조회수를 늘리기까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19, 콘텐츠 제작에 비용이 들 수도 있습니다 (예: 제페토 드라마 제작 시 캐릭터 아이템 구매 비용 1). 각 플랫폼의 운영 정책과 수익 창출 조건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취미 활동을 넘어, 자기 관리와 사업적 감각까지 요구하는 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1

3.2. 스마트폰만 있으면 OK! 앱테크 & 온라인 작업

  • 온라인 설문조사: 기업이나 연구기관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현금이나 상품권 등으로 보상을 받는 방법입니다.19 '엠브레인', '헤이폴', '스마트패널', 'Swagbucks' 등 다양한 사이트가 있으며, 가입 연령 제한을 확인해야 합니다.19 설문당 보상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19
  • 앱테크 (App Tech):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소소하게 돈을 버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출석 체크, 광고 시청, 특정 미션 수행, 걷기(만보기) 등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현금처럼 사용하거나 기프티콘으로 교환하는 방식입니다.21 '모니모', '캐시워크', '토스 만보기', '메타팝콘', '캐시테크', '롯데 엘포인트' 등 다양한 앱이 있습니다.21 Z세대와 알파세대를 합친 '잘파세대' 사이에서 앱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26 하지만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처럼 27, 큰 수익보다는 꾸준히 참여하여 용돈에 보태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근성이 매우 높은 반면, 투입하는 시간 대비 수익은 낮은 경향이 있어 자칫 시간 낭비가 될 수도 있습니다.
  • 테스트 및 리뷰: 새로 출시될 상품이나 웹사이트, 게임 등을 미리 사용해보고 의견을 제공하는 대가로 보상을 받습니다.19 노래나 전화 통화 내용을 평가하는 일도 있습니다.19 보상은 무료 샘플, 포인트, 소액 현금 등 다양합니다.
  • 광고 시청: 특정 플랫폼에서는 광고를 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합니다.19

3.3. 안 쓰는 물건, 내가 만든 작품을 팔아볼까? (온라인 판매)

  • 중고 물품: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옷, 책, 장난감, 전자기기 등을 '당근마켓', '중고나라', '번개장터'와 같은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판매합니다.20 집안 정리도 하고 용돈도 벌 수 있는 방법입니다.
  • 핸드메이드/창작물: 직접 만든 액세서리, 그림, 디지털 아트워크(이모티콘, 배경화면 등), 뜨개질 작품 등을 판매합니다.20 '아이디어스(Idus)' 같은 국내 플랫폼이나 '엣시(Etsy)' 같은 해외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20 엣시의 경우, 스토어 개설 및 상품 등록에 부모님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20 '크몽' 같은 재능마켓 플랫폼을 통해 그림 주문 제작 등을 할 수도 있습니다.29
  • 스톡 사진: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고 실력이 있다면, 직접 찍은 사진을 스톡 이미지 사이트에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19

3.4. 그 외 온라인 기회들

  • 게임 플레이: 특정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테스트하는 대가로 보상을 주는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예: Mistplay는 만 18세 이상 19). 게임 실력이 뛰어나다면 다른 사람에게 게임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으로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29
  • 번역: 외국어 실력이 뛰어나다면 번역 작업을 통해 돈을 벌 수 있습니다.19
  • 소셜 미디어 관리: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의 소셜 미디어 계정 운영을 도와주는 일입니다.19

<표 2: 온라인 돈 벌기 방법 비교>

방법 예상 수익 잠재력 필요한 노력 정도 필요한 기술/능력 연령 관련 참고사항
콘텐츠 제작 중~상 창의성, 꾸준함, 편집 기술 등 플랫폼별 정책 확인 필요 (Zepeto 등 10대 가능)
앱테크 중~상 (꾸준함) 거의 없음 대부분 10대 이용 가능
온라인 설문 하~중 거의 없음 사이트별 연령 제한 확인 필요 (13세 이상 가능 등)
온라인 판매 (중고) 하~중 상품 관리, 거래 소통 플랫폼별 정책 확인 (보통 10대 가능)
온라인 판매 (창작) 하~상 제작 기술, 디자인 감각 등 플랫폼별 정책 확인 (부모 동의/계정 필요 가능)
게임/테스트/리뷰 하~중 게임 능력, 분석력 등 서비스별 연령 제한 확인 (18세 이상 등)
번역/SNS 관리 중~상 중~상 외국어 능력, SNS 활용 능력 경력/신뢰도 필요, 연령 제한 가능성

출처: 1 등 종합

온라인 활동은 10대들이 이미 즐겨 하는 게임, 소셜 미디어 사용, 그림 그리기 등을 수익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1 이는 취미와 일의 경계를 허물어 동기 부여가 될 수 있지만, 자칫 시간 관리 실패나 번아웃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온라인 활동은 시작하기 쉽지만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고 19, 플랫폼 이용 시 수수료나 연령 제한 등의 장벽이 있을 수 있습니다.20 따라서 각 활동의 특성과 조건을 잘 파악하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4. 나만의 기술로 돈 벌기: 프리랜서와 소규모 창업

학교 공부나 취미 활동을 통해 익힌 특별한 기술이나 재능이 있다면, 이를 활용해 돈을 벌 수도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아르바이트를 넘어 자신만의 '작은 사업'을 경험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29

4.1. 당신의 재능이 돈이 되는 방법들

  • 가르치기 (과외): 자신이 자신 있는 과목(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을 동생이나 어린 학생들에게 가르쳐주는 것입니다.29 온라인 화상 통화나 오프라인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꼭 공부가 아니더라도, 농구 자유투나 배구 서브처럼 특정 운동 기술을 가르쳐 줄 수도 있습니다.29
  • 기술 활용:
  • IT 기술: 코딩, 웹사이트 제작, 그래픽 디자인, 영상 편집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작업을 해줄 수 있습니다.19
  • 창작 기술: 그림 그리기(초상화, 캐리커처, 웹툰 제작 등), 글쓰기(블로그 포스팅, 자기소개서 첨삭 등), 악기 연주나 레슨, 수공예품 제작 판매 등이 가능합니다.20
  • 돌봄 서비스: 이웃의 반려동물을 산책시키거나 잠시 돌봐주는 펫시터, 혹은 어린 아이를 잠시 돌봐주는 베이비시터 활동입니다.20
  • 심부름 및 도움: 주변 어른들의 간단한 심부름을 대신 해주거나, 도움이 필요한 일을 해결해주고 대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31

4.2. 프리랜서로 일해보기

  • 프리랜서란? 특정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자신의 기술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여러 고객(클라이언트)과 건별로 계약하여 일하는 방식입니다.
  • 플랫폼 활용: '크몽(Kmong)'과 같은 재능 마켓 플랫폼은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 번역가, 튜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프리랜서)와 고객을 연결해 줍니다.32 이런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서비스를 등록하고 고객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 이용 시에는 보통 수수료가 발생하며 32, 청소년이 판매자(프리랜서)로 등록 가능한지에 대한 연령 정책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크몽의 경우, 10대 이용자는 주로 구매자이며 판매자 등록 가능 여부는 불확실함 34). 경우에 따라 부모님의 동의나 계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의 존재는 프리랜서에게 고객 확보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수수료와 연령 제한 같은 장벽도 고려해야 합니다.
  • 직접 계약: 플랫폼을 통하지 않고, 아는 사람이나 지역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고객을 찾아 계약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4.3. 간단한 사업 아이디어

  • 온라인 판매 (3장 참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해보기
  • 이웃을 대상으로 세차 서비스 제공하기 36 (한국에서는 환경적 제약이 있을 수 있음)
  • 집 정리나 청소 서비스 제공하기

4.4. 고려해야 할 점

프리랜서나 소규모 창업은 스스로 사장님이 되는 경험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기술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서비스 가치를 정하고 가격을 책정하는 방법 ▲고객을 찾고 소통하는 방법 ▲약속한 시간 안에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책임감 ▲대금 청구 및 관리 (세금 문제 등은 부모님 도움 필요)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경험 부족으로 자신의 기술 가치를 낮게 평가하거나 고객과의 관계 설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 연마와 더불어 '비즈니스 감각'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일이라도 계약 내용을 명확히 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10대에게 전통적인 고용 관계를 벗어나 자신의 능력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경제적 수입뿐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독립성, 책임감 등 중요한 역량을 키우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플랫폼프리랜서노동공제회'와 같은 공식적인 지원 조직은 주로 성인(만 19세 이상 등 37)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10대 프리랜서를 위한 맞춤형 지원은 부족할 수 있다는 점도 인지해야 합니다.

5. 용돈 벌기 프로젝트: 집안일과 목표 달성

아르바이트나 온라인 활동 외에도, 집안일을 통해 용돈을 버는 것은 10대들이 돈의 가치를 배우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단순히 돈을 받는 것을 넘어, 노력과 보상의 관계를 직접 체험하는 과정입니다.33

5.1. 집안일 용돈 시스템 만들기

  • 어떤 일을 할까? 나이와 능력에 맞는 집안일을 정합니다.
  • 어린 동생 돌보기, 책 읽어주기, 숙제 도와주기 39
  • 빨래 널기/개기, 설거지, 방/화장실 청소, 쓰레기 분리수거 33
  • 요리 보조 (채소 씻기, 재료 준비 등) 33
  • 반려동물 돌보기 (밥 주기, 산책시키기, 목욕시키기) 33
  • 식물 물 주기, 이부자리 정돈, 장난감 정리 33
  • 구두 닦기, 운동화 빨기, 간단한 심부름 33
  • 명확한 기준과 보상 정하기: 각 집안일을 '언제까지, 어떻게' 해야 완료된 것인지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거울 닦기 + 청소 도구 제자리에 놓기).40 그리고 각 집안일의 난이도나 소요 시간에 따라 적절한 용돈 금액을 정합니다.40 집안일 목록과 해당 용돈을 표로 만들어두면 좋습니다.39
  • 함께 정하고 약속하기: 어떤 집안일을 할지, 용돈은 얼마로 할지 등을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의논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42 이는 자녀가 용돈 시스템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합니다. '용돈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39

5.2. 기본 집안일 그 이상

  • 목표 달성 보너스: 학업 성적 향상, 독서 목표 달성, 자격증 취득 등 특정 목표를 달성했을 때 추가 용돈이나 보너스를 주는 방식입니다.
  • '홈 아르바이트': 특정 집안일을 정기적으로 책임지고 수행하는 것을 '집안일 아르바이트'처럼 운영할 수 있습니다.40

5.3. 가족의 의무 vs. 유료 노동

모든 집안일에 용돈을 지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의 방 정리나 식사 후 자기 그릇 치우기 등 가족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과, 추가적인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용돈을 받는 일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39 어떤 일을 유료로 할지는 각 가정의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39 이러한 구분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노동의 대가라는 개념을 함께 배울 수 있습니다.

5.4. 꾸준함이 중요

정해진 규칙에 따라 용돈을 꾸준히 지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42 집안일 완료 여부를 기록하는 앱(예: OurHome, Rooster Money 33)이나 간단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용돈 지급을 미루거나, 집안일과 관련 없는 이유로 용돈을 주지 않는 것은 시스템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 중 한 명이 몰래 용돈을 주는 행동은 교육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43

집안일을 통한 용돈 시스템은 10대에게 통제된 환경 속에서 '일-보상'이라는 경제의 기본 원리를 가르쳐주는 효과적인 훈련 방법입니다.33 돈이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노력을 통해 얻는다는 것을 배우고 33, 어떤 일에 얼마의 가치를 부여할지 생각하며 협상하는 과정 40 자체가 미래의 경제 활동에 필요한 중요한 역량을 길러줍니다.

6. 돈 버는 것만큼 중요한 돈 관리: 금융 기초 다지기

열심히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번 돈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미래의 재정 상태를 결정합니다.44 어릴 때부터 돈 관리 습관을 들이는 것은 장기적인 재정적 안정과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금융 지식(Financial Literacy)은 현명한 금융 생활의 기초가 됩니다.45

6.1. 내 돈은 어디로 갔을까? (용돈 기록)

  • 흐름 파악: 내가 번 돈이 어디에, 얼마나 쓰이는지 파악하는 것이 돈 관리의 시작입니다.48
  • 기록 방법: 용돈 기입장(수기 노트) 39, 간단한 엑셀 파일, 또는 스마트폰의 가계부 앱이나 10대용 핀테크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49 체크카드를 사용한다면 카드 명세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48

6.2. 계획적으로 쓰자! (예산 세우기)

  • 지출 계획: 수입(용돈, 알바비 등) 내에서 어떻게 돈을 사용할지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50
  • 간단 분류: 처음에는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꼭 필요한 지출 (Needs): 교통비, 학용품 구매 등
  • 원하는 지출 (Wants): 간식, 게임, 영화, 친구 선물 등
  • 단기 저축 (Short-Term Savings): 사고 싶은 물건(게임기, 옷, 콘서트 티켓 등)을 위한 저축 40
  • 장기 저축 (Long-Term Savings): 대학 학자금, 여행 자금 등 미래를 위한 저축 40
  • (선택) 나누기 (Giving): 기부 등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한 돈 40
  • 예산 분배 규칙: '50/30/20 규칙'(필수 생활비 50%, 원하는 지출 30%, 저축 20%)과 같은 간단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자신만의 예산 비율을 정해볼 수 있습니다.50

<표 3: 나의 첫 예산 짜보기 (예시)>

구분 계획 (원) 실제 (원) 메모
수입      
용돈 50,000 50,000  
알바비 100,000 100,000  
총 수입 150,000 150,000  
지출 (필요 Needs)      
교통비 20,000 22,000  
학용품 10,000 8,000  
지출 (욕구 Wants)      
간식/음료 30,000 35,000 친구들과 떡볶이, 음료수
게임/오락 20,000 15,000  
단기 저축 (목표: OO) 30,000 30,000 갖고 싶은 운동화 (총 15만원 목표)
장기 저축 40,000 40,000 은행 계좌 입금
총 지출 + 저축 150,000 150,000  

이 표는 예시이며, 항목과 금액은 개인의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6.3. 차곡차곡 모으는 재미! (저축)

  • 저축 먼저, 지출은 나중에: 돈이 생기면 일단 저축할 금액을 먼저 떼어놓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목표 설정: 사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을 명확한 목표로 설정하면 저축이 더 즐거워지고 꾸준히 할 수 있습니다.40 위시리스트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습니다.40
  • 은행 계좌 활용: 은행에 자신의 이름으로 된 계좌를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27 최근에는 부모님 동의 하에 비대면으로 미성년자 계좌 개설이 가능해지는 추세입니다.46 이는 10대들이 금융 활동에 더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변화입니다. 입출금 통장 외에도, 장기적인 주택 마련을 위한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 가입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46

6.4. 돈이 돈을 벌게 하려면? (투자 맛보기)

  • 투자의 개념: 저축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라면, 투자는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고 돈이 더 불어나기를 기대하며 주식, 펀드, 부동산 등에 돈을 맡기는 것입니다.27
  • 관심 증가: 요즘에는 10대들도 부모님과 함께 또는 스스로 주식 투자 등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49 환경 보호, 사회 공헌 등 착한 기업에 투자하는 ESG 투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27
  • 배움이 우선: 투자는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위험한 활동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충분히 공부하고 이해한 후에 신중하게 시작해야 합니다.27 모의투자 게임이나 금융 교육 자료를 통해 먼저 경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과거의 '저축 중심' 금융 교육에서 나아가, 투자에 대한 이해와 위험 관리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교육의 필요성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6.5. 금융 교육의 중요성

돈을 관리하는 능력은 저절로 생기지 않습니다. 학교에서도 '금융과 경제생활'과 같은 선택과목이 신설되는 등 금융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51 금융감독원 등 여러 기관에서 청소년을 위한 금융 교육 프로그램과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45 금융 지식을 쌓는 것은 불법 사금융 피해나 금융 사기를 예방하고 47, 미래에 더 나은 재정적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청소년이 실질적인 금융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45 따라서 스스로 관심을 갖고 배우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7. 어려움이 생겼을 때: 도움받을 수 있는 곳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돈 관리를 하면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임금체불), 부당하게 해고당하거나, 일터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혼자 고민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5 다행히 청소년 근로자를 돕기 위한 여러 기관과 상담 창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7.1. 어디에 도움을 청할 수 있나요?

  •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전화 국번없이 1350으로 전화하면 임금체불, 근로계약, 근로시간 등 노동 관련 법규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3
  • 청소년 상담전화: 전화 국번없이 1388 (휴대전화는 지역번호+1388)은 청소년의 다양한 고민을 들어주는 곳으로, 아르바이트 관련 어려움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상담도 가능합니다.5
  • 청소년·청년 근로권익센터: 한국공인노무사회 등에서 운영하는 센터로, 청소년의 노동 권리 침해에 대해 무료 상담 및 권리 구제 절차 지원을 제공합니다.3 각 지역별 노동자 종합지원센터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3

7.2.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이러한 기관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대해 상담하고 해결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밀린 임금(알바비) 받기
  • 근로계약서 관련 문제
  • 법정 근로시간, 휴게시간 등 근무 조건 위반
  • 일하다 다쳤을 때의 처리 (산업재해 보상) 3
  • 부당한 해고 3
  • 직장 내 괴롭힘이나 부당한 대우

7.3. 망설이지 마세요!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느껴지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위에 소개된 곳에 연락하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며, 이러한 지원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청소년 근로자를 보호하려는 사회적 노력을 보여줍니다. 다만, 이러한 자원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과 실제로 도움을 요청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를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이나 정보 부족으로 도움 요청을 주저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생겼을 때 도움을 받는 것이 당연하고 필요한 일임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맺음말: 슬기로운 경제생활의 시작

지금까지 한국의 10대 청소년들이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전통적인 아르바이트부터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수익 창출, 자신의 재능을 살린 프리랜서 활동, 그리고 집안일을 통한 용돈 벌기까지, 10대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하든 자신의 법적 권리를 정확히 알고(근로계약서 작성, 최저임금 확인 등),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입니다. 또한, 돈을 버는 경험만큼이나 번 돈을 현명하게 관리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미래의 재정적 자립을 위한 튼튼한 기초가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44 용돈 기입장을 쓰고, 예산을 세우고, 저축하는 습관은 어릴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제 활동은 단순히 돈을 버는 행위를 넘어, 책임감을 배우고 사회를 경험하며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이 자신에게 맞는 기회를 찾고, 슬기롭고 보람찬 경제생활을 시작하는 데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해나가세요.

Works cited

  1. 요즘 10대는 어떻게 돈을 벌까?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피드,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toss.im/article/tinyquestions-teens-1
  2. 청소년 근로기준법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blog.naver.com/mojjustice/223669631926?fromRss=true&trackingCode=rss
  3. 청소년 노동인권 - 서울노동포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seoullabor.or.kr/portal/cnts/selectContents.do?cntnts_id=A1000064
  4. 10대가 가장 궁금해 하는 청소년 알바 Q&A Top 5 | KB의 생각, accessed April 8, 2025, https://kbthink.com/main/living-finance/series/teens-money/teens-part-time.html
  5. 일하는 청소년·사업주라면 꼭 알아야 할 청소년 근로상식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accessed April 8, 2025, https://sns.korea.kr/policy/civilView.do?newsId=148929151
  6. 청소년 근로권익 보호 -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youth.go.kr/youth/youth/contents/laborPrtcForm.yt
  7. 아르바이트 하는 청소년이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mogefkorea/223080422086
  8. 청소년의 근로 가능 연령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1381&ccfNo=1&cciNo=1&cnpClsNo=1
  9. www.moel.go.kr,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moel.go.kr/news/cardinfo/view.do?bbs_seq=20230701364#:~:text=15%EC%84%B8%20%EB%AF%B8%EB%A7%8C%20%EC%B2%AD%EC%86%8C%EB%85%84%20%EA%B3%A0%EC%9A%A9,%EA%B0%80%EC%82%B0%EC%88%98%EB%8B%B9%20%EC%A7%80%EA%B8%89)%20%EC%95%BC%EA%B0%84(22
  10. 청소년아르바이트 < 취업가이드 | 직업계고 취업지원센터 - 인천광역시교육청,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ice.go.kr/jci/cm/cntnts/cntntsView.do?mi=10460&cntntsId=300
  11. 근로기준법에 따른 만 18세 미만 연소근로자 채용 시 주의사항(+ 나이, 근로시간) | 샤플,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shoplworks.com/blog-insight/considerations-hiring-underage-labor-standards-act
  12. www.moel.go.kr,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moel.go.kr/common/downloadFile.do?file_seq=21171101258&bbs_seq=1513146963216&bbs_id=LOCAL1
  13. 청소년 아르바이트생 증가… 전단지부터 피팅모델까지 종류도 가지각색, accessed April 8, 2025, https://news.edupang.com/news/article.html?no=7155#:~:text=%EC%8B%A4%EC%A0%9C%2C%2010%EB%8C%80%20%EC%B2%AD%EC%86%8C%EB%85%84%EB%93%A4%EC%9D%B4,%EB%A0%88%EC%8A%A4%ED%86%A0%EB%9E%91(11.7%25)%20%EB%93%B1%EC%97%90%20%EC%A7%80%EC%9B%90
  14. 대학생 알바 구할 때 알아두면 좋은 꿀팁 | KB의 생각, accessed April 8, 2025, https://kbthink.com/main/living-finance/consumption-life/single-consumption/univ-parttimejob.html
  15. 아르바이트 - 나무위키, accessed April 8, 2025, https://namu.wiki/w/%EC%95%84%EB%A5%B4%EB%B0%94%EC%9D%B4%ED%8A%B8
  16. 진정한 알바 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아르바이트에 대한 모든 것!, accessed April 8, 2025, http://mpress.changwon.ac.kr/news/articleView.html?idxno=3051279
  17. 청소년 '알바' 권리·의무 알아야 - 경상일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8822
  18. 모든 생애 모든 알바 알바천국,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lba.co.kr/
  19. Teenpreneur: 십대를 위한 수익성 있는 온라인 부업 31가지 - doola,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doola.com/ko/blog/online-side-hustles-for-teens/
  20. 십대로서 돈을 버는 방법: 사업 아이디어 - Ecwid,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ecwid.com/ko/blog/make-money-as-teen.html
  21. 9월 학생 청소년 돈버는법 앱테크 Ft. 모니모 돈나무 메타팝콘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wodus8606/223213656318
  22. 하루 10원도 벌면 좋다… 고물가 시대 '앱테크족' 모십니다 - 국민일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43499580
  23. 재택알바 추천 초기비용없는 청소년도 가능한 앱테크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gomgome18/223361889541
  24. 하루 40분 걸어 아메리카노 한 잔... '앱테크' 해보니 - 여성신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224
  25. [투이톡 Summary] 앱테크 추천,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2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183
  26. 잘파세대, 학업만큼 앱테크 눈독…열에 여덟 용돈 불리려 앱테크 해요 - 아주경제,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junews.com/view/20230830085355360
  27. 초등학생 용돈 관리 방법 10대를 위한 경제 도서 추천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rndhdhdh80/222684557210
  28.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온라인 게임으로 돈 버는 수업 - Outschool, accessed April 8, 2025, https://outschool.com/ko/online-classes/popular/make-money-games
  29. 04~08년생 쉽게 돈 버는 꿀팁 알려드림 | 입시덕후 - YouTube,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7LZvI2CkoW8
  30. 04~08년생 쉽게 돈 버는 꿀팁 알려드림 | 입시덕후 - YouTube, accessed April 8, 2025, https://m.youtube.com/watch?v=7LZvI2CkoW8&pp=ygUJI-y6kOyLnDI1
  31. 청소년들과 '플랫폼 노동'을 이야기해볼까 — '청소년노동인권 노랑' 연대세미나 - 문화연대, accessed April 8, 2025, https://culturalaction.org/39/?bmode=view&idx=6886780
  32. 크몽 - 나무위키, accessed April 8, 2025, https://namu.wiki/w/%ED%81%AC%EB%AA%BD
  33. 집안일을 통한 자녀 연령별 경제교육 가이드 - 이스트스프링자산운용,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eastspringinvestments.co.kr/insights/an-age-by-age-guide-to-giving-your-child-a-chore-based-allowance
  34. 실력 있는 전문가 찾기, 크몽, accessed April 8, 2025, https://kmong.com/
  35. 광고 상품 소개서 - 크몽, accessed April 8, 2025, https://static.cdn.kmong.com/assets/pdfs/kmong_ads_introduction_240920.pdf
  36. [Financial literacy] 세상엔 공짜란 없단다, 아이 돈벌기 교육방법 4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trihanwha/221544415431
  37. 프리랜서 청년의 목돈 마련하러 가기 - 한국플랫폼프리랜서노동공제회, accessed April 8, 2025, https://nodonggongje.org/69
  38. N잡 프리랜서·플랫폼종사자 목돈 마련은 '이걸로' - 데일리팝,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73453
  39. 용돈, 어디까지 벌어봤니? (feat. 용돈 벌기로 추천하는 집안일 리스트)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raon2029/221612073604?viewType=pc
  40. 초등학생 용돈 어떻게 정할까? 아이 미래를 바꾸는 자녀 용돈 관리 | KB의 생각, accessed April 8, 2025, https://kbthink.com/main/living-finance/talk-cardnews/2024/allowance.html
  41. [책 속 육아] 집안일 교육, 가족회의, 용돈관리, 유대인 아이들이 받는 경제교육 (유대인 엄마의 힘) - 나빛 - 티스토리, accessed April 8, 2025, https://nabit.tistory.com/43
  42. 10대부터 시작하는 돈 관리 - 브런치스토리, accessed April 8, 2025, https://brunch.co.kr/@heeyais/4
  43. [부모수업] “집안일 하면 용돈 주는 교육? 60년 전 이야기” - 뉴스포스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94317
  44. 소비·저축·투자·기부의 법칙 3:3:3:1 기억하세요! - 한겨레,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88196.html
  45. 의무교육 내 금융교육 강화 필요성과 바람직한 발전 방향, accessed April 8, 2025, https://culture.kookmin.ac.kr/gulmal/curriculums/3/prizes/8/attach
  46. [우리 아이 경제 교육법] 자녀와 함께 하는 '자산관리' - 에잇퍼센트 공식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8percent.kr/4119
  47. [기획] 선생님, 이자율이 무엇인지 모르는데 주식으로 세뱃돈을 받아도 되나요? - 청소년 금융생활 및 경제교육 인식 조사, accessed April 8, 2025, https://hrcopinion.co.kr/archives/26210
  48. 경제 관련 어린이 도서 추천- 엄마는 생각쟁이 2024년 10월호, 초등 용돈 관리 방법,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geumhwasa/223676337461
  49. 10대 용돈 관리, 핀테크 앱으로 All In One - 신한금융희망재단 BLOG,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shinhanfoundation.com/10%EB%8C%80-%EC%9A%A9%EB%8F%88-%EA%B4%80%EB%A6%AC-%ED%95%80%ED%85%8C%ED%81%AC-%EC%95%B1%EC%9C%BC%EB%A1%9C-all-in-one/
  50. 10대 자녀에게 좋은 경제 습관을 길러주려면 | 마켓인사이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eastspringinvestments.co.kr/insights/how-to-facilitate
  51. 공교육 내 금융교육 활성화를 지원하고 실효성 있는 금융교육을 추진하겠습니다. - KDI 경제교육, accessed April 8, 2025, https://eiec.kdi.re.kr/policy/callDownload.do?num=258745&filenum=1&dtime=20241025170809
  52. 공교육 내 금융교육 활성화를 지원하고 실효성 있는 금융교육을 추진하겠습니다. - Naver Blog,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blogfsc/223633239986?fromRss=true&trackingCode=rss
  53. 금융감독원 '청소년 금융교실' - 행복한 교육, accessed April 8, 2025,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214&nttId=20
  54. 국내 금융교육 현황 및 시사점 - 보험연구원,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kiri.or.kr/pdf/%EC%84%B8%EB%AF%B8%EB%82%98%EC%9E%90%EB%A3%8C/semina20240215_2.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