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10대를 위한 슬기로운 알바 생활: 쉽고 안전하게 용돈 버는 법 A to Z 들어가며: 나만의 용돈, 직접 벌어볼까? (+수익 2000,000 버는 비결)

fatwallet-1 2025. 4. 9. 11:16
반응형

 

최근 한국의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돈 버는 법', '돈 벌기', '돈 잘 버는 법' 같은 키워드 검색이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 들어봤나요? 이는 단순히 용돈이 더 필요하다는 의미를 넘어, 스스로 경제 활동을 경험하고 배우려는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용돈을 넘어 경제적 자립을 꿈꾸고, 사회 경험을 쌓으며 책임감을 배우는 것은 정말 멋진 일이죠.

하지만 막상 돈을 벌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혹시 위험한 일은 아닐까, 나에게 맞는 일은 무엇일까 고민도 될 거고요.

이 가이드는 바로 그런 10대 청소년들을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법률이 정한 청소년 아르바이트 규칙부터 시작해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오프라인 아르바이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수익 창출 방법, 여러분의 취미나 재능을 돈으로 바꾸는 방법, 그리고 안전하게 돈을 벌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금융 상식과 사기 예방법까지! 10대 눈높이에 맞춰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스스로의 힘으로 돈을 벌고 관리하는 경험은 여러분을 한 뼘 더 성장시키는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슬기롭고 안전한 첫 경제 활동 여정에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Part 1: 일하기 전 필수 체크! 청소년 알바 법률 상식 (쉽게 알아보는 법 이야기)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바로 '법'입니다. 조금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법들은 청소년 근로자를 보호하고 부당한 대우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학업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죠.1 법을 아는 것은 여러분 스스로를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일할 수 있는 나이는? (나이 제한)

  • 기본 원칙: 대한민국 근로기준법상 원칙적으로 만 15세 이상부터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1
  • 만 13세~14세의 예외: 만약 만 13세 이상 만 15세 미만이라면, 원칙적으로는 일할 수 없지만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고용노동부에서 발급하는 **'취직인허증'**이 있으면 가능해요.1 이 서류는 청소년이 하려는 일이 위험하지 않고, 의무 교육(중학교)을 받는 데 지장이 없는지를 확인한 후 발급됩니다.1 취직인허증 발급 절차는 본인, 학교장, 부모님의 동의 확인 등이 필요하며, 신청 후 발급까지 약 3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4
  • 만 13세 미만: 만 13세 미만은 원칙적으로 근로자로 일할 수 없습니다.3 다만, 예술 공연 참가를 위한 경우 등 매우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취직인허증을 받아 일할 수 있습니다.1

꼭 챙겨야 할 서류는? (필요 서류)

  • 만 18세 미만 청소년: 아르바이트를 시작할 때 ① 친권자(부모님 등) 또는 후견인의 동의서② 나이를 증명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1 사업주는 이 서류들을 사업장에 꼭 비치해 두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3
  • 주의!: 부모님이나 후견인이 동의는 하지만, 근로계약 자체를 대신 체결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근로계약은 반드시 청소년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4

얼마나 일할 수 있을까? (근로 시간)

청소년의 건강과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법으로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 만 18세 미만: 하루 7시간, 일주일 35시간을 초과해서 일할 수 없습니다.3 (일부 자료에서는 주 40시간으로 언급되기도 하나 1, 최근 요약 자료 및 다수 자료에서 35시간으로 명시하고 있어 이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안전합니다.3)
  • 연장 근무: 만약 일이 많아서 더 일해야 한다면, 청소년 본인이 동의하는 경우 하루 1시간, 일주일 5시간까지 연장 근무가 가능합니다.4 (일부 자료에서 주 6시간 한도로 언급되기도 하나 1, 5시간으로 명시된 자료가 더 많습니다.4)
  • 야간 및 휴일 근무: 만 18세 미만 청소년은 원칙적으로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의 야간 시간과 휴일에는 일할 수 없습니다.1 하지만 예외적으로 청소년 본인의 동의가 있고,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의 인가를 받으면 가능합니다.1 이는 매우 엄격한 조건 하에서만 허용됩니다.
  • 쉬는 시간 (휴게 시간): 일하는 도중에 자유롭게 쉴 수 있는 시간도 법으로 보장됩니다. 4시간 일하면 30분 이상, 8시간 일하면 1시간 이상의 휴게 시간을 근무 시간 도중에 받아야 합니다.3 이 시간은 사용자의 지휘·감독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임금을 받지 않는 시간입니다.8

정당한 대가를 받자! (임금)

  • 최저임금: 청소년이라고 해서 임금을 적게 받는 것은 불법입니다. 성인과 동일하게 법으로 정해진 최저임금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3 2024년 현재 시간당 최저임금은 9,860원이며, 2025년에는 10,030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4 이것은 법적인 최소 금액이므로, 이보다 적게 받아서는 안 됩니다.
  • 추가 수당 (가산임금): 만약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연장근무, 야간근무, 휴일근무를 했다면, 평소 받는 시급(통상임금)의 50%를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4 이 규정은 주로 상시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인 사업장에 적용됩니다.4
  • 주휴수당: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기로 약속하고, 그 주에 결근 없이 모두 출근했다면, 일주일에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주휴수당' 또는 '유급휴일'입니다.4 즉, 실제로 일하지 않은 하루에 대해서도 급여를 받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약속, 근로계약서! (근로계약서)

  • 필수 작성: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해야 합니다.1 정규직이든, 단기 아르바이트든 상관없이 필수입니다.6 이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중요한 약속이며, 법적 보호의 기본이 됩니다.
  • 확인 내용: 근로계약서에는 임금(금액, 계산 방법, 지급 방법), 근로 시간, 휴일 및 휴가, 담당 업무 내용 등이 명확하게 적혀 있어야 합니다.1 꼼꼼히 확인하고 서명해야 합니다.
  • 나의 권리: 작성된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한 부를 받아서 보관해야 합니다.4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PC로 작성하고 교부받는 전자근로계약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4

이런 일은 할 수 없어요! (근로 금지 직종)

청소년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법적으로 위험하거나 유해한 업종에서의 근무는 금지되어 있습니다.4 예를 들어, 청소년보호법에 따라 주류를 판매하는 술집이나 단란주점, 유흥주점 등에서는 일할 수 없습니다.3 또한, 근로기준법에 따라 광산 내부(갱내)에서의 작업 등 위험한 일도 제한됩니다 (단, 보건, 의료, 보도·취재 등 일부 예외 업무는 가능).1

문제가 생겼을 땐? (권리 구제)

만약 아르바이트 중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게 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국번 없이 1350으로 전화 상담하거나, 고용노동부 웹사이트의 '민원마당'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1 가까운 지방고용노동청을 직접 방문하여 상담 및 신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1
  • 기타 지원 기관: 대한법률구조공단을 통해 법률 상담이나 소송 지원을 받을 수도 있고 1, 청소년근로보호센터 (여성가족부 운영) 등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4
  • 업무 중 부상: 만약 일하다가 다쳤다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나 근로기준법에 따라 치료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1 아르바이트생도 당연히 해당됩니다.

이처럼 다양한 법적 장치와 지원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공정한 환경에서 일할 권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러한 제도들은 청소년의 연령대에 따라 다른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며(예: 만 13-14세의 취직인허증 제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청소년 스스로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권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한눈에 보는 청소년 알바 규칙>

항목 (Feature) 만 13-14세 (Age 13-14) 만 15-17세 (Age 15-17) 만 18세 이상 (Age 18+)
최소 연령 (Minimum Age) 가능 (취직인허증 필요) 가능 가능
필요 서류 (Required Docs) 취직인허증, 부모님 동의서, 나이 증명서 부모님 동의서, 나이 증명서 해당 없음
1일 근로시간 (Daily Hours) 최대 7시간 최대 7시간 법정 근로시간 (보통 8시간)
1주 근로시간 (Weekly Hours) 최대 35시간 최대 35시간 법정 근로시간 (보통 40시간)
야간/휴일근로 (Night/Holiday) 원칙적 불가 (예외: 동의+인가) 원칙적 불가 (예외: 동의+인가) 가능
최저임금 (Minimum Wage) 성인과 동일 성인과 동일 성인과 동일

이 표는 일반적인 규칙을 요약한 것이며, 세부 사항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관련 법규 및 고용노동부 자료를 참고하세요.

Part 2: 동네 한 바퀴! 흔히 찾는 오프라인 알바 (익숙한 알바 자리들)

법률 상식을 익혔다면, 이제 실제로 어떤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을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10대 청소년들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오프라인 아르바이트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어디서 일할 수 있을까? (흔한 알바 종류)

가장 대표적인 곳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편의점, 카페, 식당, 빵집, 패스트푸드점: 고객 응대, 계산, 매장 정리, 간단한 조리 보조 등의 업무를 주로 합니다.
  • 전단지 배포: 길거리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홍보 전단지를 나누어 주는 일입니다.
  • 행사 스태프: 콘서트, 박람회, 지역 축제 등 단기 행사에서 안내, 설치 보조, 운영 지원 등의 역할을 합니다.13 (예: 안전체험 행사 보조, 전시 부스 스태프)
  • 매장 판매직: 대형마트(롯데마트 등), 의류 매장(지오다노 등), 키즈카페 등에서 상품 진열, 판매, 고객 응대 등을 담당합니다.13
  • 물류/창고 보조: 택배 상하차, 상품 분류 및 포장 등 비교적 육체적인 노동이 필요한 일입니다. 쿠팡 물류센터 등이 대표적입니다.13
  • 기타: 학원 보조 강사, 사무 보조, PC방 관리 등 다양한 종류의 아르바이트가 있습니다.

이런 일들은 대부분 시간과 노력을 들인 만큼 정직하게 대가를 얻을 수 있고, 사회성을 기르고 책임감을 배우는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알바 자리, 어떻게 찾을까? (구인구직 플랫폼)

아르바이트 자리를 찾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온라인 구인구직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청소년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바몬 (Albamon): 국내 최대 규모의 아르바이트 전문 플랫폼 중 하나로, '청소년 알바' 전용관을 운영하여 청소년들이 지원 가능한 공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15 AI 추천, 지도 기반 검색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며, 모바일 앱으로도 이용 가능합니다.15 잡코리아와 연동되어 이력서 관리도 용이합니다.15
  • 알바천국 (Alba.co.kr): 알바몬과 함께 가장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사이트입니다. 다양한 업직종과 지역의 공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3
  • 알바스쿨 (Alba.school): 청소년에게 '안전한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데 특화된 플랫폼입니다.17 단순히 일자리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 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곳, 공공기관 일자리 등을 발굴하고, 청소년의 자립 활동을 지원하며 문화/교류 프로그램이나 장학금 등을 제공하기도 합니다.17 청소년의 근로 환경 개선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가진 점이 특징입니다.
  • 동네알바 (Dongnealba.com): 이름처럼 집 근처, 우리 동네의 아르바이트 정보를 찾는 데 유용한 플랫폼입니다.18

이 외에도 각 지역의 구인구직 사이트나 학교 게시판, 커뮤니티 등을 통해서도 아르바이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를 벌 수 있을까? (시급 수준)

앞서 설명했듯이, 청소년 아르바이트생도 성인과 동일하게 최저임금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4 2025년 기준 시간당 10,030원이 법적 최소 금액입니다.11

대부분의 편의점, 카페, 식당 등 서비스직 아르바이트는 최저임금 수준에서 시급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업무 강도가 높거나 특정 기술이 필요한 경우, 또는 심야 시간대 근무(합법적인 경우)나 성수기 등에는 최저임금보다 높은 시급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쿠팡 물류센터의 경우 일반 작업은 시급 11,000원~12,500원, 심야 작업은 13,000원~14,500원 수준이며, 명절 등 성수기에는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14 공공근로의 경우에도 최저임금에 교통비, 간식비 등 소정의 수당이 추가로 지급되기도 합니다.19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경우에도 최저임금 미만으로 지급하는 것은 불법이라는 점입니다. 시급을 확인할 때는 반드시 최저임금 이상인지 확인하고, 근로계약서에도 명시된 금액을 꼼꼼히 살펴보세요.

오프라인 아르바이트는 정해진 시간에 출근하여 맡은 일을 수행하고 급여를 받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의 경제 활동입니다. 고객을 직접 대하거나 동료들과 협력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Part 3: 온라인 세상에서 돈 벌기! 디지털 부업 가이드

집에서, 혹은 내가 원하는 시간에 좀 더 유연하게 돈을 벌고 싶다면 온라인 세상에도 다양한 기회가 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만 있다면 도전해볼 수 있는 디지털 부업들을 알아볼까요?

작은 미션으로 쏠쏠하게! (앱테크 - AppTech)

'앱테크'는 '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소소하게 돈이나 포인트를 버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큰돈을 벌기는 어렵지만,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꾸준히 참여하면 간식비나 용돈 정도는 벌 수 있습니다.

  • 어떤 앱들이 있을까?
  • 모니모 (Monimo): 삼성에서 만든 앱으로, 출석 체크, 특정 시간 기상 미션, 하루 5,000보 이상 걷기, 친구에게 송금하기 등의 미션을 수행하면 '젤리'를 지급합니다. 이 젤리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꾸준히 참여하면 한 달에 몇만 원 정도 모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20
  • 캐시워크 (CashWalk): 걷기만 해도 포인트가 쌓이는 대표적인 만보기 앱입니다. 누적 다운로드 수가 2,100만 회를 넘을 정도로 인기가 많으며, 쌓인 포인트는 상품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21
  • 캐시테크 (CashTech): 간단한 미션 참여로 포인트를 적립하고, 5,000원부터 현금화가 가능해 학생들에게 적합하다고 소개됩니다.22
  • 메타팝콘 (MetaPopcorn): 광고 시청(건당 200원), 출석 체크(하루 1,000원, 일주일 연속 시 추가 지급) 등으로 포인트를 모으고, 이 포인트로 가상 건물을 구매하여 추가 수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현금 출금도 가능합니다.20
  • 기타: 롯데그룹의 'L.POINT 엘스탬프'(출석체크 등으로 하루 10원 적립) 23, 11번가의 게임형 이벤트 '11키티즈' 23, 보험 관련 앱 '보인다' 24, '돈나무' 20 등 다양한 앱들이 있습니다.
  • 현실적인 기대: 앱테크는 한 번의 참여로 얻는 보상이 매우 작습니다(예: 엘스탬프 하루 10원).23 따라서 큰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꾸준히 참여하여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드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 생각을 돈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기업이나 연구기관에서는 제품 개발이나 서비스 개선을 위해 소비자들의 의견을 필요로 합니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이러한 의견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 활동입니다.

  • 어디서 참여할까?
  • 엠브레인 패널파워 (Embrain PanelPower): 오랜 역사를 가진 대표적인 리서치 회사로, 온라인 설문조사 외에도 특정 주제에 대해 직접 만나 이야기하는 '좌담회'나 전화 조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25 10대 청소년들도 가입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25
  • 오베이 (Ovey): 스마트폰 앱을 통해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플랫폼입니다. 때로는 오프라인 설문조사 참가자를 모집하기도 합니다.26
  • 기타 플랫폼: 헤이폴(HeyPoll), 스마트패널(SmartPanel) 20 등 다양한 설문조사 앱과 사이트가 있으며, ADED 26 같은 사이트에서는 다양한 기관의 좌담회 참가자를 모집하는 공고를 볼 수 있습니다.
  • 수익은 어느 정도?
  • 온라인 설문: 한 건당 적립금은 설문 길이와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몇백 원에서 몇천 원 수준입니다. 다만, 설문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간에 종료되고 소정의 포인트(50~200원 정도)만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25 꾸준히 참여하면 한 달에 7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 모을 수 있다는 경험담도 있습니다.27
  • 좌담회 (오프라인): 특정 장소(주로 서울 강남이나 광화문 등)에 직접 방문하여 1~2시간 정도 의견을 나누는 방식입니다. 온라인 설문보다 훨씬 높은 보상(예: 2시간에 4만 원 26, 특정 연구는 며칠 참여에 11만 원 28)을 받을 수 있지만, 자주 있는 기회는 아니며 참여 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26
  • 장단점: 시작하기 쉽고 26, 원하는 시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27 때로는 흥미로운 주제를 접할 수도 있습니다.26 하지만 설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고 25, 이것만으로 꾸준한 수입을 얻기는 어렵습니다.26 일부 단순 반복 작업(예: 설문지 분류)은 지루할 수 있습니다.29

안 쓰는 물건, 필요한 사람에게! (중고거래 앱)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옷, 책, 전자기기, 장난감 등을 필요한 사람에게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고 용돈도 벌 수 있어 인기가 많습니다.

  • 대표적인 플랫폼:
  • 당근 (Danggeun, 구 당근마켓): '당신 근처의 마켓'이라는 이름처럼 지역 기반 거래에 특화되어 있으며, 이용 경험률이 87%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30 주로 30~40대 이용자가 많지만 31, 최근에는 중고 물품 거래를 넘어 지역 커뮤니티, 광고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32
  • 번개장터 (Bunjang): 10대~20대 이용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플랫폼입니다.30 특히 패션, 아이돌 굿즈, 스니커즈 등 특정 카테고리에 강점을 보이며 '패션 놀이터'로 불리기도 합니다.32
  • 중고나라 (Joongonara): 가장 오래된 중고거래 플랫폼 중 하나로, 네이버 카페를 기반으로 성장했습니다.33 30~40대 남성 이용자 비중이 높은 편이며 31,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한 안전결제 시 수수료(약 3.5%)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33
  • 수익 잠재력: 판매하는 물건의 종류와 상태, 가격 책정에 따라 수익은 천차만별입니다. 일부 전문 판매자들은 상당한 수입을 올리기도 하지만 34, 대부분의 청소년에게는 안 쓰는 물건을 정리하며 소소한 용돈을 버는 수단이 될 것입니다. 평균 거래 금액은 건당 약 6만 원 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30
  • 거래 시 주의점: 개인 간 거래이다 보니 사기 거래의 위험이 있으며, 물건 포장 및 배송, 구매자와의 소통 등 다소 번거로운 과정이 따를 수 있습니다.30

나만의 재능을 팔아봐! (재능 마켓)

그림 그리기, 글쓰기, 외국어, 코딩, 악기 연주, 영상 편집 등 여러분이 가진 특별한 재능이나 기술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고 수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 어떤 플랫폼이 있을까?
  • 크몽 (Kmong): 디자인, IT 프로그래밍, 영상 제작, 번역, 마케팅, 운세 상담 등 매우 다양한 분야의 재능이 거래되는 대표적인 종합 재능 마켓입니다.35
  • 긱몬 (Gigmon): 알바몬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비대면 거래와 안전결제를 강조하며, 특히 초기 판매자 수수료 0원 정책을 내세우기도 합니다.36 디자인, 문서 작업, 과외/레슨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습니다.36
  • 재능넷 (Jaenung.net): 디자인, 번역, 문서 작성, 음악/영상, 프로그램 개발, 마케팅, 생활 서비스, 심지어 지식 공유(지식인의 숲)까지 폭넓은 분야의 재능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37
  • 재능아지트 (Skillagit): 디자인, 마케팅, 문서 컨설팅, 번역, IT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재능을 거래하는 플랫폼입니다.38
  • 기타: 오투잡(Otwojob, 종합 장터), 탈잉(Taling, 주로 과외/강습), 숨고(Soomgo, 과외/강습 중심), 플리토(Plitto, 번역 특화) 35, 잡고(Jobgo, 체험/재능/공모전 정보) 39 등 다양한 플랫폼이 있습니다.
  • 어떻게 이용할까? 플랫폼에 가입하여 자신의 재능이나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상세히 설명하는 프로필(또는 '재능 상품')을 등록하고 가격을 설정합니다.35 구매자가 서비스를 보고 문의하거나 주문하면 작업을 진행하고 완료 후 대금을 받는 방식입니다.
  • 가격 및 수수료: 서비스 가격은 재능의 종류, 작업 난이도, 소요 시간 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예: 로고 디자인, 영상 편집, 번역 등 수만 원에서 수십만 원 이상까지 다양함).37 거래가 성사되면 플랫폼에 일정 비율의 중개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35 (단, 긱몬처럼 프로모션으로 수수료 면제를 하기도 함 36). 참고: 재능 판매로 꾸준히 수입을 얻으려면 사업자 등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에게는 다소 복잡한 절차일 수 있습니다.35

온라인 세상은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앱테크나 설문조사처럼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소소한 용돈을 벌 수 있는 방법부터, 중고거래처럼 자원을 재활용하며 수익을 내는 방법, 그리고 재능 마켓처럼 자신의 기술과 전문성을 발휘하여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까지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법이든 쉽게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앱테크나 설문조사는 꾸준함이 생명이고 23, 중고거래는 판매할 물건이 있어야 하고 구매자와의 소통 및 거래 과정이 필요합니다.30 재능 마켓에서 성공하려면 남들과 차별화되는 실력과 자신을 알리는 노력이 중요합니다.35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현실적인 기대치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돈 벌기 방법 비교>

 

방법 (Method) 예시 플랫폼/앱 (Examples) 필요 노력 (Typical Effort) 수익 잠재력 (Earning Potential) 장점 (Pros) 단점 (Cons)
앱테크 (AppTech) 모니모, 캐시워크, 캐시테크, 메타팝콘 20 낮음 (Low) 매우 낮음 (Very Low per task) 시작하기 쉬움, 자투리 시간 활용 큰 수익 어려움, 꾸준함 필요
온라인 설문조사 (Survey) 엠브레인, 오베이, 헤이폴 20 낮음~중간 (Low to Medium) 낮음~중간 (Low to Medium) 비교적 간편, 다양한 주제 접함 대상 제외 잦음, 좌담회 외 큰 수익 기대 어려움
중고거래 (Used Goods) 당근, 번개장터, 중고나라 30 중간 (Medium) 가변적 (Variable, depends on items) 안 쓰는 물건 정리, 자원 재활용 판매 물품 필요, 거래 과정 번거로울 수 있음
재능 마켓 (Talent) 크몽, 긱몬, 재능넷, 재능아지트 35 높음 (High, requires skill) 가변적/높음 (Variable/Potentially High) 재능 활용, 전문성 개발, 높은 수익 가능 특정 기술/재능 필요, 경쟁, 자기 홍보 필요

Part 4: 크리에이터의 세계! 콘텐츠로 돈 벌기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서 재미있는 영상이나 유익한 정보를 만드는 사람들을 본 적 있죠? 이렇게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어 사람들과 소통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것을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돈을 벌까? (수익 모델)

크리에이터가 돈을 버는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 광고 수익: 유튜브 영상 중간이나 블로그 글 사이에 광고가 붙는 것을 본 적 있을 거예요. 시청자나 방문자가 이 광고를 보거나 클릭하면, 플랫폼(유튜브, 네이버 등)과 크리에이터가 광고 수익을 나누어 갖습니다. (예: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
  • 협찬 및 브랜드 협업: 특정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신의 콘텐츠에서 소개해주고 대가를 받는 방식입니다. '유료 광고 포함' 같은 문구를 본 적 있다면 바로 이것입니다.
  • 제휴 마케팅: 자신의 콘텐츠에서 특정 상품을 추천하고, 시청자가 그 링크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면 판매 금액의 일부를 수수료로 받는 방식입니다.

시작하려면? (도전과 현실)

매력적으로 들리지만, 콘텐츠 제작으로 의미 있는 수익을 얻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 꾸준함과 열정: 자신이 정말 좋아하고 잘 아는 분야를 선택해서 꾸준히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차별화: 수많은 크리에이터들 사이에서 돋보이려면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이나 관점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 소통: 구독자나 팔로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팬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유명 크리에이터들의 화려한 모습 이면에는 치열한 경쟁과 끊임없는 노력이 숨어 있습니다. 단기간에 큰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관심사를 표현하고 사람들과 교류하며 성장하는 과정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의 활동은 악성 댓글이나 사생활 노출 등의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Part 5: 내 안의 보물찾기! 취미와 특기를 돈으로 바꾸는 법

혹시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나요? 악기 연주에 소질이 있거나, 외국어를 잘하거나, 코딩에 관심이 많나요? 여러분이 가진 취미나 특기도 충분히 돈을 버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재능 마켓' 플랫폼들이 바로 여러분의 재능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35

어떤 재능을 활용할 수 있을까? (구체적인 예시)

  • 미술/디자인:
  • 직접 그린 그림, 일러스트, 캐리커처 등을 판매.37
  • 로고, 명함, 웹툰 캐릭터, 프레젠테이션 템플릿 등 맞춤 디자인 제작.37
  • 직접 만든 액세서리, 키링, 인형 등 수공예품 판매.36
  • 음악:
  • 온라인으로 악기 연주 레슨 제공.36
  • 행사 축가나 연주 (가능하다면).
  • 자작곡이나 편곡 작품 판매.
  • 광고, 영상 등에 필요한 목소리 녹음 (내레이션, 더빙).37
  • 언어:
  • 외국어 학습 튜터링.36
  • 문서 번역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35
  • 외국어 문서 감수 및 교정. (번역 특화 플랫폼 '플리토' 등 활용 35)
  • 글쓰기:
  • 블로그 포스팅, SNS 콘텐츠, 자기소개서 등 대필 또는 첨삭.
  • 각종 보고서나 과제 작성 컨설팅.38
  • 창작 글쓰기 (소설, 시 등).
  • 코딩/IT:
  • 간단한 웹사이트 제작 또는 수정.37
  • 코딩 기초 학습 지도.
  • 컴퓨터 문제 해결 지원.
  • 기타:
  • 특정 과목 학습 지도 (온라인 과외).36
  • 사진 촬영 (제품 사진, 프로필 사진 등).37
  • 영상 편집 및 제작.37
  • 게임 실력 향상 코칭.
  • PPT 제작 대행.37

이 외에도 여러분이 '이런 것도 팔릴까?' 싶은 사소한 재능이나 지식도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 재능 마켓 플랫폼들 35을 둘러보며 다른 사람들은 어떤 재능을 판매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입니다.

자신의 재능을 활용해 돈을 버는 것은 큰 성취감을 줄 뿐만 아니라, 미래의 진로를 탐색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art 6: 특별한 기회를 잡아라! 단기 프로젝트와 공모전

매일 꾸준히 하는 아르바이트나 온라인 활동 외에도, 짧은 기간 동안 참여하여 돈을 벌거나 특별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들이 있습니다.

짧고 굵게! (단기 아르바이트 및 프로젝트)

  • 행사 스태프: 주말이나 방학 기간에 열리는 각종 행사(콘서트, 페스티벌, 박람회, 스포츠 경기 등)에서 안내, 질서 유지, 물품 판매, 부스 운영 보조 등의 역할을 하는 아르바이트입니다. 알바몬 13 등 구인 사이트에서 '단기 알바', '행사 스태프'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관련 공고를 찾을 수 있습니다.15
  • 계절 알바: 스키장, 수영장, 농어촌 체험마을 등 특정 계절에만 인력이 필요한 곳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입니다.
  • 단기 프로젝트: 특정 기간 동안만 진행되는 조사 보조, 자료 입력, 번역 감수 등의 업무도 있습니다.

이런 단기 아르바이트는 정해진 기간 동안 집중해서 일하고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력 발휘하고 상금까지! (공모전 및 경진대회)

정부 기관, 기업, 대학교 등 다양한 곳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글짓기, 그림 그리기, 사진, 영상 제작, 아이디어 제안, 코딩, 발명 등 다채로운 분야의 공모전이나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 참여 혜택: 입상하면 상금이나 장학금, 상품 등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관련 분야의 경험을 쌓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수상 경력은 나중에 진학이나 취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보 얻는 곳: '청소년 공모전' 등의 키워드로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학교나 청소년 기관의 공지사항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잡고(Jobgo)와 같은 플랫폼에서도 공모전 정보를 제공합니다.39

정부 및 지자체 지원 활동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중에도 경제적 보상(활동비, 수당 등)이 지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소년 기자단, 정책 참여단, 봉사 활동 프로그램 등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 활동 정보 사이트(예: Youth.go.kr 5)나 지역 청소년 센터 홈페이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알바스쿨과 같은 기관도 공공 일자리 발굴 및 연계 활동을 합니다.17

이러한 특별한 기회들은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을 넘어,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Part 7: 번 만큼 잘 쓰자! 10대를 위한 용돈 관리 기본기

열심히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번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사용하는지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돈 잘 버는 법'은 '돈 잘 관리하는 법'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죠. 지금부터 건강한 금융 습관을 기르는 기초를 다져봅시다.

왜 중요할까? (금융 교육의 필요성)

스스로 번 돈을 계획적으로 관리하는 습관은 어릴 때부터 길러야 하는 중요한 삶의 기술입니다. 용돈을 현명하게 사용하고, 미래를 위해 저축하며, 충동적인 소비를 줄이는 방법을 배우면 장기적으로 경제적 안정과 자유를 누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내 돈 사용 설명서 만들기 (예산 세우기)

  • 수입 파악: 한 달 동안 나에게 들어오는 돈이 얼마인지 정확히 파악합니다. 정기적인 용돈, 아르바이트 급여, 비정기적인 수입(세뱃돈, 상금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 지출 기록: 돈을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 꾸준히 기록합니다. 스마트폰 가계부 앱이나 간단한 메모장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처음에는 귀찮을 수 있지만, 자신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예산 설정: 수입 범위 내에서 각 항목(교통비, 간식비, 문화생활비, 저축 등)별로 예산을 정합니다. 처음에는 대략적으로 시작해서 점차 자신에게 맞게 조절해나가면 됩니다.

미래를 위한 씨앗 뿌리기 (저축 습관)

  • 목표 설정: 저축을 왜 하는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동기 부여가 됩니다. '갖고 싶은 운동화 사기'(단기 목표)부터 '대학교 등록금 마련'(장기 목표)까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나에게 먼저 투자하기': 돈이 생기면 일단 일정 금액을 저축 계좌에 먼저 넣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쓰고 남은 돈을 저축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
  • 저축 방법: 돼지 저금통부터 시작해도 좋고, 부모님과 상의하여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를 만들어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금융 상품도 있으니 알아보세요.

똑똑하게 돈 쓰기 (현명한 소비)

  • 필요 vs 욕구 구분: 물건을 사기 전에 '이것이 정말 나에게 필요한 것인가, 아니면 단순히 갖고 싶은 것인가?'를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세요.
  • 비교하고 따져보기: 같은 물건이라도 판매처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구매 전에 가격 비교 사이트나 앱을 활용하여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충동구매 방지: 광고나 친구들의 영향으로 계획에 없던 물건을 갑자기 사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잠시 시간을 갖고 정말 필요한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4시간 규칙'(사고 싶은 물건이 생기면 24시간 기다렸다가 결정하기) 등을 활용해보세요.

배움의 기회 찾기

은행, 금융감독원, 각종 교육 기관 등에서 청소년을 위한 금융 교육 자료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교 수업 외에도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여 금융 지식을 넓혀가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금융 습관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지금부터 꾸준히 실천하며 시행착오를 겪다 보면, 어느새 돈을 현명하게 관리하는 멋진 어른으로 성장해 있을 거예요.

Part 8: 함정 피하기! 안전하게 돈 버는 법 (온라인 부업 사기 주의)

아르바이트나 온라인 부업을 통해 돈을 벌려는 청소년들의 순수한 마음을 악용하는 사기꾼들이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전하게 돈을 벌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위험 신호와 예방 수칙을 알아봅시다.

이런 제안은 의심하세요! (사기 위험 신호)

  • 선입금 요구: 교육비, 자재비, 등록비, 보증금 등 어떤 명목으로든 일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돈을 내라고 요구하는 경우는 거의 100% 사기입니다. 정상적인 회사는 구직자에게 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 과도한 개인정보 요구: 급여 지급에 필요한 계좌번호 외에, 통장이나 체크카드 자체, 비밀번호, 보안카드 정보, 주민등록번호 전체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초기에 요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범죄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 비현실적인 고수익 보장: 하는 일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은 수익을 약속하는 광고는 의심해야 합니다. '누구나 쉽게', '단기간 고수익' 등의 문구에 현혹되지 마세요. 세상에 쉽게 큰돈을 버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 불분명한 업무 내용: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주지 않고, 막연하게 '간단한 작업', '데이터 입력' 등으로 얼버무리는 경우, 불법적인 일에 연루될 수 있습니다.
  • 다단계/피라미드 방식 의심: 물건을 강매하거나, 다른 사람을 가입시켜야만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라면 피라미드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비전문적인 소통: 공식적인 회사 이메일이 아닌 개인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거나, 메시지에 오타나 비문이 많고, 비상식적인 시간에 연락하는 등 소통 방식이 허술하다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자금 이체/전달 요구: 본인 명의 계좌로 돈을 받아 다른 곳으로 이체하거나, 현금을 전달하는 등의 업무는 보이스피싱 자금 세탁 등 범죄에 연루될 위험이 매우 큽니다. 절대로 해서는 안 됩니다.

안전하게 일하기 위한 약속 (안전 수칙)

  • 꼼꼼한 정보 확인: 지원하려는 회사나 플랫폼에 대해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미리 알아보세요. 사업자 등록 정보, 실제 운영 여부, 다른 사람들의 후기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선입금 절대 금지: 어떤 이유로든 돈을 먼저 요구하면 즉시 거절하고 연락을 차단하세요.
  • 개인정보 보호: 꼭 필요한 정보 외에는 함부로 제공하지 마세요. 특히 통장, 카드, 비밀번호 등 금융 정보는 절대 알려주면 안 됩니다.
  • 근로계약서 확인: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내용을 꼼꼼히 확인한 후 서명하세요. 구두 계약은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 '세상에 공짜는 없다' 명심: 너무 좋은 조건은 일단 의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직감을 믿으세요: 뭔가 이상하거나 찜찜한 느낌이 든다면, 무리하게 진행하지 말고 일단 멈추세요.
  • 주변에 도움 요청: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부모님, 선생님, 또는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반드시 상의하세요. 경찰청(112), 금융감독원(1332) 등 관련 기관에 문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여러분의 권리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앞서 배운 근로기준법상의 권리(근로계약서 작성, 최저임금 보장 등)를 당당하게 요구하는 것은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항상 신중하게 판단하고,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단호하게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결론: 나만의 길을 찾아, 슬기로운 경제생활 시작!

지금까지 10대 청소년들이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살펴보았습니다. 편의점이나 카페 같은 익숙한 오프라인 아르바이트부터 시작해서, 앱테크, 온라인 설문조사, 중고거래, 재능 마켓 같은 온라인 활동, 그리고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공모전 도전까지, 여러분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생각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아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나이 제한, 근로 시간, 최저임금, 근로계약서 작성 등의 규칙을 숙지하는 것은 부당한 대우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2

또한, 자신에게 맞는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면 오프라인 아르바이트를,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고 싶다면 앱테크나 설문조사를, 특별한 재능이 있다면 재능 마켓을 통해 역량을 발휘해볼 수 있습니다.15 어떤 경험이든 여러분에게 소중한 배움과 성장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현명한 돈 관리 습관을 기르는 것을 잊지 마세요. 예산을 세우고, 꾸준히 저축하며, 신중하게 소비하는 습관은 여러분의 미래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특히 온라인 활동 시에는 사기 위험에 항상 주의하고, 의심스러운 제안은 단호하게 거절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는 반드시 주변의 도움을 구하세요.

스스로의 힘으로 돈을 벌고 관리하는 경험은 단순한 용돈 벌이를 넘어, 책임감, 성실함, 문제 해결 능력 등 삶에 필요한 많은 것들을 가르쳐 줄 것입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슬기롭고 보람찬 경제 활동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기를 응원합니다. 이제, 여러분의 가능성을 믿고 힘차게 첫발을 내딛어 보세요!

Works cited

  1.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 법제처, accessed April 8, 2025, http://www.moleg.go.kr/FileDownload.mo?flSeq=77065
  2. www.moel.go.kr,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moel.go.kr/local/changwon/common/downloadFile.do;jsessionid=dq1z1XrAbcBYa3PHYOWuywKhWWiDf47rFKaF8pphA4wVaODkJZM2AGyqTeUX12kt.moel_was_outside_servlet_wwwlocal?file_seq=21171042392&bbs_seq=78985&bbs_id=LOCAL5#:~:text=%EC%B2%AD%EC%86%8C%EB%85%84%20%EC%95%84%EB%A5%B4%EB%B0%94%EC%9D%B4%ED%8A%B8&text=%EC%97%B0%EC%86%8C%EA%B7%BC%EB%A1%9C%EC%9E%90%EB%9E%80%20%EA%B7%BC%EB%A1%9C%EA%B8%B0%EC%A4%80,%EC%9E%90%EB%A5%BC%20%EC%82%AC%EC%9A%A9%20%ED%95%A0%20%EC%88%98%20%EC%9E%88%EC%8A%B5%EB%8B%88%EB%8B%A4.
  3. 청소년 근로기준법 이것만은 기억하세요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blog.naver.com/mojjustice/223669631926?fromRss=true&trackingCode=rss
  4. 아르바이트 하는 청소년이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mogefkorea/223080422086
  5. 청소년 근로권익 보호 -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youth.go.kr/youth/youth/contents/laborPrtcForm.yt
  6. 일하는 청소년·사업주라면 꼭 알아야 할 청소년 근로상식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accessed April 8, 2025, https://sns.korea.kr/policy/civilView.do?newsId=148929151
  7. www.seoullabor.or.kr,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seoullabor.or.kr/portal/cnts/selectContents.do?cntnts_id=A1000064#:~:text=18%EC%84%B8%20%EB%AF%B8%EB%A7%8C%20%EC%B2%AD%EC%86%8C%EB%85%84%EC%9D%98%20%EA%B7%BC%EB%A1%9C%EC%8B%9C%EA%B0%84%EC%9D%80%20%EC%9B%90%EC%B9%99%EC%A0%81%EC%9C%BC%EB%A1%9C,%EA%B3%BC%20%ED%9C%B4%EC%9D%BC%20%EA%B7%BC%EB%A1%9C%20%EB%B6%88%EA%B0%80%ED%95%A9%EB%8B%88%EB%8B%A4.
  8. 청소년 노동인권 - 서울노동포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seoullabor.or.kr/portal/cnts/selectContents.do?cntnts_id=A1000064
  9. 근로시간 청소년의 근로시간 제한은 어떻게 되나요 - 커리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career.co.kr/mobile/board/labor_faq_view.asp?faqSeq=30&page=1&schCateCd=3&schKeyDiv=1&schKeyword=&order_num=2&pageSize=10
  10. 미성년자 아르바이트생 채용 시 주의사항 - 요기요 사장님포털, accessed April 8, 2025, https://partner.yogiyo.co.kr/content/view/%EC%9D%8C%EC%8B%9D%EC%A0%90_%EB%AF%B8%EC%84%B1%EB%85%84%EC%9E%90_%EC%B2%AD%EC%86%8C%EB%85%84_%EC%A7%81%EC%9B%90_%EC%B1%84%EC%9A%A9
  11. 급여계산기 - 알바천국, accessed April 8, 2025, https://m.alba.co.kr/story/Calculator.asp
  12. [2025년 최저임금 얼마?] 일자리 상황 및 월급계산, 주휴수당까지 알아보자! - Naver Blog,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cc1121_/223516228080
  13. 모든 생애 모든 알바 알바천국,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lba.co.kr/
  14. 쿠팡 하루알바 2025 완벽 가이드 + 지원 노하우 총정리 - 뉴닉, accessed April 8, 2025, https://newneek.co/@pipen/article/29218
  15. 알바몬 - 아르바이트 구인 구직, 일자리 매칭 플랫폼 - Google Play 앱, accessed April 8, 2025,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lbamon.app&hl=ko
  16. 홈>채용정보>청소년>방과후알바 - 알바몬,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lbamon.com/jobs/youth/after-school
  17. 청소년과 사업체를 연결하는 모임의 장, 알바스쿨, accessed April 8, 2025, http://www.alba.school/board/sub.php?sub=sub_04&menu=01
  18. 동네알바 - 내 주변 알바 찾기,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dongnealba.com/
  19. 2025년 공공근로 일자리 월급 및 기초수급자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gkslrkrnd/223662698868
  20. 9월 학생 청소년 돈버는법 앱테크 Ft. 모니모 돈나무 메타팝콘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wodus8606/223213656318
  21. 만보기 앱 10개 깔고 1만보... 하루에 얼마까지 벌 수 있을까 - 조선일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10/10/7756L7IMOZBSZP3P6UETM7L4NE/
  22. 재택알바 추천 초기비용없는 청소년도 가능한 앱테크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blog.naver.com/gomgome18/223361889541
  23. 하루 10원도 벌면 좋다… 고물가 시대 '앱테크족' 모십니다 - 국민일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43499580
  24. 앱테크 추천 2025‼️ 포인트 팍팍 쌓이는 쉬운 돈버는앱 l 출퇴근 시간에 하기 좋은 직장인 부업,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4AimXiv5y9s
  25. 엠브레인패널파워로 용돈벌이하는 방법 및 알바후기 : 네이버 블로그,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sage_mage/221911437995?viewType=pc
  26. [광고아님]3시간동안 7만원 벌었어요! 좌담회 알바, 설문조사 알바 후기 (단기알바) 꿀알바 추천, accessed April 8, 2025, https://blog.naver.com/real_e/222208731507?viewType=pc
  27. 누구나 한달 10~20만원 더 버는 인터넷 리서치 설문조사알바 - 사락, accessed April 8, 2025, https://sarak.yes24.com/blog/kingidea/review-view/7105524
  28. 2시간 30분 하고 11만원 받는 온라인 설문조사 재택알바 I OTT 플랫폼 관련 설문조사,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hH13RMbuLEo
  29. 동네알바톡 : 단기 알바 후기 몇가지 올립니다. - 알바천국,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lba.co.kr/story/albastory/Detail?bidx=49027
  30.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률 1위는 '당근마켓'…만족도는 비슷비슷” - 전자신문, accessed April 8, 2025, https://m.etnews.com/20230523000215?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31. 중고 거래터(플랫폼)가 흥하는 이유는? - 우리문화신문,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9878
  32. “중고 시장 40조 원대로”… 경쟁 치열해지는 '플랫폼 삼국지' - 동아일보,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927/130120386/2
  33. [중고거래 3사 3색中] 광고냐 수수료냐...중고거래 플랫폼, 수익 파이프라인도 제각각,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ajunews.com/view/20240625141229440
  34. '당근'으로 억대 매출…상위 10명은 평균 2억 웃돌아 - 한겨레,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54290.html
  35. 취직 힘드세요? '재능 마켓' 가보셨나요 - 시니어조선, accessed April 8, 2025, https://senio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9/2018011901477.html
  36. 긱몬, accessed April 8, 2025, https://gigmon.albamon.com/
  37. 재능넷 - 공유경제 재능마켓! 프리랜서 재능기부 플랫폼,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jaenung.net/
  38. 재능마켓 재능아지트 - 재능기부 재능거래 플랫폼,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skillagit.com/
  39. 잡고 청년체험마켓, accessed April 8, 2025, https://www.jobgo.ac/

 

반응형